오늘은 CJ ENM의 주가 동향에 대해 알아봅시다. 최근 3년 동향 문화산업 관련 경기가 코로나로 인해계속적으로 좋지 않아 크게 좋은 상황은 아닙니다.코로나 전 시점에도 못 미치는 상황입니다. 저는 코로나가 잠잠해질 것을 기대하고 1월 경에매수하였는데 좀 손해를 보고 있군요.코로나가 극복되면 어짜피 실적은 개선될 것이고저의 철학을 기준으로 길게 보고 있습니다. 2021년 1분기 동향CJ ENM은 현재 코스탁에서 시가총액이 9위로한국 문화 산업계를 이끌고 있죠. (2021년 4월 26일 기준) - CJ ENM : 시총 3조 1,885억 현재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한 8396억원,1분기 영업이익은 50.5% 증가한 59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판단되며시장의 기대치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
이번에는 삼성화재의 주가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3년 동향 등락을 반복하면서 우하향 하던 중 코로나 바이러스가 시작되면서 폭락하였습니다. 그 뒤에 모든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 급반등한 뒤 다시 박스권에 머물고 있습니다. (우선주는 조금씩 상승 중) 코로나가 한창 시작될 때 2019년 배당금 기준 주당 8500원이니까 배당수익률은 5% 가까이 되었습니다. 역시 고배당주입니다. (급락 후 급반등 시점 기준입니다.) 저는 분야별 1등 기업만 장기투자하고 있고 손해보험업계에서는 삼성화재가 최고이기에 배당수익률이 더 높은 삼성화재우를 매수하였습니다. 당시 배당수익률이 6.8% 였지요. ^^ 역시 장기투자의 목적이었고 이번에 고배당금의 첫 결실을 보게 되는군요. 2021년 1분기 동향 삼성화재는 국내 손해..
오늘은 KB금융의 주가 동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최근 3년 동향 3년 전에 거의 피크였군요. 최고점에서 내려오다가 코로나로 인해 폭삭 주저앉았습니다. 이 때가 기회였지요. 코로나 폭락 당시 2019년 배당금을 기준으로 하면 주당 2,210원이니까 배당수익률이 8.5%가 넘었습니다. 엄청난 수익률이죠. 저는 좀 늦은 6월에 5.4%를 보고 매수했습니다. ^^ 당시 수익률 높은 기업이 많았지만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1등 기업만 매수하고 있었기에 저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이었습니다. 2021년 1분기 동향 KB금융은 국내금융주 리더로써 시가총액이 가장 큽니다. (2021년 4월 9일 기준) - KB금융 : 시총 21조 9,547억 - 신한지주 : 시총 19조 2,467억 - 하나금융지주 : 시총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