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차) 인간의 오류 : 우리가 흔히 하는 착각 9가지

반응형

인간이 흔히 하는 오류,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착각입니다. 총 9가지인데요. 이것을 잘 알고 있으면 메타인지가 올라갑니다. 내가 뭘 모르는지에 대해서 잘 알 수 있고 이러한 것을 찾아 독서와 학습을 병행하면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거죠.

참조 : http://cyw.pe.kr/xe/a7/70014

 


1. 기억력 착각

법정에서의 잘못된 판결 중에 70%는 목격자의 잘못된 진술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인간은 기억을 편집하여 그대로 믿거나 아예 없는 기억조차 만들어 내고 확실하다고 착각합니다. 자신의 기억력을 맹신하면 안 됩니다. 그래서 메모, 기록이 중요한 것입니다. 절대 다른 사람과 기억력 가지고 싸울 필요가 없습니다. 어리석은 행동이지요.

 

2. 소박한 실제론

자신이 세상을 제대로 보고 있다고 순진하게 믿는 것입니다. 자신이 세상을 대충은 뻔히 알고 있다고 착각하여 자만심에 빠지는데 실제로는 자신이 뭘 모르는지를 모르는 것입니다. 무식할수록 소박한 실제론에 잘 빠집니다. 따라서 많이 공부해야 합니다.

 

 

3. 사후 해석 편향

어떤 일의 결과를 보면 뻔해 보입니다. 자신이 원래 이러한 결과를 예측했거나 이미 누군가가 예측했다고 착각하는 것이 사후 해석 편향입니다. 이것 때문에 싸움도 많이 일어나지요. 어떤 일이 잘못됐을 때 '내 이럴 줄 알았어 ㅉㅉ'라고 하는 레퍼토리 말입니다.

 


4. 계획 오류

우리는 계획을 세울 때 자신의 계획에 대한 실행률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계획을 잘 못 지키지요. 계획은 정해진 게 아닙니다. 실행할 수 있을 만큼만 계획으로 세우고 그걸 하나씩 업데이트해나가는 것이 계획입니다.

실력은 계획을 잘 짜는 게 아니라 실행할 수 있는 계획만 짜는 것입니다. 실행할 수 없는 희망사항만을 적는 것은 계획이 아니며 지킬 수 없는 희망고문이 됩니다. 결국 계획과 실행의 차이가 클수록 무기력에 빠질 확률이 아주 높아지지요.

 

5. 정서 예측 오류

어떠한 사건을 겪을 때 기쁨과 고통이 평생 갈 것 같지만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서 금방 적응합니다. 그래서 생존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슬픔의 크기가 계속 유지된다면 살아갈 수 없겠지요.

'내가 로또만 당첨되면 행복하겠지?' 그것은 순간입니다. 조금 지나면 적응이 되고 기쁨은 점차 옅어집니다. 또한 인생에 큰 어려움이 닥쳤을 때, 그 고통은 계속되지 않을 것을 알기에 곧 적응할 수 있고 극복할 수 있다.

 

6. 평균 이상 효과

모두 자기 자신이 평균 이상인 줄 아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사람의 IQ 평균은 100인데 실제로 IQ 80인 사람은 찾기 어렵습니다. 이것이 자신감으로 이어지면 좋은데 자만심이 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나는 대충 해도 중간은 한다.' 와 같은 것이 대표적이지요.

 


7. 확증 편향

확률적으로 어떠한 정보를 찾을 때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정보를 찾을 확률이 옳지 않다고 믿는 정보를 찾을 확률의 2배라고 합니다. 원래 내가 주장하던 것에 관계되는 정보만 계속 찾는 것이고 이로 인해 본인의 오류는 계속 강화됩니다. 내가 가진 주장을 더욱 확실하게 펼치려면 반드시 반대되는 입장의 정보를 찾아봐야 합니다. 그래야 내가 펼치는 주장이 더욱 설득력이 있어지거나 만약 잘못됐다면 고쳐나갈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확증 편향의 예로는 '꼰대'들이 있지요.

 

8. 가용성 편향

자기 자신이 느끼기에 무언가가 일어나는 빈도수가 많다고 느끼면 실제로도 그렇다고 생각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면 부부가 함께 하는 가사 노동이 있습니다. 서로 많이 한다고 느끼지요. 전체가 100인데 둘이 합치면 150이 나옵니다. ㅋㅋ 나는 내가 하는 것을 항상 보고 있으니까 내가 더 많이 하는 것 같이 느끼는 것입니다. 상대방이 하는 것은 못 보니까 착각하게 되는 것이지요.

인지적으로 빈도가 높다고 실제 빈도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통계를 보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기록을 남겨야 제대로 알 수 있겠습니다.

 

 

9. 권위자 편향

자기의 생각과 의견이 있더라도 권위자가 주장하면 자신의 생각을 바꾸는 것입니다. 항상 옳은 권위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비판적 사고를 가져야 하겠습니다.

 


이상의 9가지 인간의 오류는 모든 사람에게 해당됩니다. 인간의 뇌가 그렇게 생겨 먹었기 때문이지요. 이것을 인지하고 어떻게 이 오류를 줄여나갈 것인가? 를 고민하면 메타인지를 높이고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