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자산 형성 지원) 소득 수준 구간별 지원

반응형

2021년 7월 하반기부터 청년들의 소득 수준을 3구간으로 나누어 구간별 맞춤형 자산 형성을 지원한다고 한다.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정책이었으면 좋겠네요. ^^

청년 기준은 만 19~39세로 책정할 가능성이 크다.


  소득구간Ⅰ에 해당하는 청년  

대상 :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중위소득 100% 1,827,831 원 3,088,079 원 3,983,950 원 4,876,290 원 5,757,373 원 6,628,603 원


지원 방법 : 청년내일저축계좌를 통해 월 10만원씩 3년 동안 적금을 부으면 정부가 매달 10만원씩 매칭 해서 지원
(* 3년 만기를 다 채울 경우, 최대 720만원의 목돈이 생기게 된다.)


소득구간Ⅱ에 해당하는 청년

대상 :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중위소득 150% 2,741,747 원 4,632,119 원 5,975,925 원 7,314,435 원 8,636,060 원 9,942,905 원


지원 방법 : 저축 시에 정부가 시중 이자에 적금 기간에 따라 추가 2~4% 금리를 지원


소득구간 Ⅲ에 해당하는 청년

대상 : 중위소득 150% 이상
지원 방법 : 높은 소득공제 혜택을 받는 펀드를 도입하고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


추가 지원 내용

1. 7월 발표 예정인 튼튼한 청년 희망사다리 대책 청년내일저축계좌(가칭)
대상 : 월 50만~182만원 (2021년 최저임금 기준) 소득을 받는 청년
지원 방법 : 3년간 360만원을 저축할 시, 정부에서 추가로 360만원을 지원
(* 총 720만원의 목돈을 마련 가능 - 최저임금 이하, 과외 및 아르바이트인 경우도 포함)


2. 군 장병 등에 대한 자산형성 지원 강화 정책
대상 : 전체 군 장병
지원 방법 : 군대 월급 등으로 월 30만원을 저축할 경우, 정부가 10만원을 추가 지원
(*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

3. 청년내일채움공제 개선
대상 :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개선 내용 : 지원 인원을 2만명 확대해서 올해 말로 예정된 일몰 기한을 연장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